日本語
몽당연필페북
회원수다방
CLOSE
×
몽당연필
대표인사
걸어온길
사업소개
정관
살림살이
오시는길
소식
공지사항
활동보고
동포소식
몽당연필 소식
미유의 동포 이야기
일정표
미디어
관련 행사
우리동네 우리학교
우리학교 어디있지?
홋카이도 학구
이바라기 학구
도쿄 학구
가나가와 학구
아이치 학구
교토 학구
오사카 학구
고베 학구
히로시마 학구
규슈 학구
자료실
우리학교 시리즈
재일조선인연구
영상
영화
책 소개
기타
열린마당
카페로 가기
공간대여
문의하기
법률상담
알아봅시다
조선학교는 어떤 곳?
고교무상화란?
보조금 문제
조선적 동포 문제
각 지역 재판 현황
후원하기
소식
동포소식
동포소식
목록
Total
107
텍스트
역전분투, 격투의 궤적 - 제100회 전국고교 럭비대회(1)
제100회 전국고교 럭비대회 -오사카 조고,당당히3위!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 고급부 럭비부가<제100회 전국 고등학교 럭비 풋볼대회>(2020.12. 27~2021.1.9,히가시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경기장)에 출전해 제89회 대회(2009),제90회 대회(2010)이후로3위에 오르는 결과를 달성했다.한 경기 한 경기를 전력으로 싸워 온 선수들의 모…
14
0
02-21
텍스트
꿈에 그린 ‘하나조노’ 경기장, 끝까지 지켜낸 ‘사명’ - 제100회 전국고교 럭…
‘나중에는 조고에서 럭비를 하고 싶다’올해 오사카 조고 럭비부는 선수39명(3학년21명, 2학년7명, 1학년11명)과 매니저2명,지도자3명으로 출발했다.선수들은<동포들에게 힘과 용기를,후배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자>는‘사명’을 슬로건으로 내걸고1년간 열심히 할 것을 다짐했다.이 슬로건으로 정한 배경에는 선수들이 초급부 시절에 또렷한 기억으로 남은‘…
9
0
02-21
텍스트
뜨거워진 눈시울, 기쁨의 환호 - 시합 관전 현장
오사카 조고에서 열린 럭비시합 온라인 관전에는 약180명이 모여 뜨거운 응원을 보냈다.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 고급부 럭비부가 1월 3일 <제100회 전국고등학교 럭비 풋볼대회>의 준준결승에서 카시와 고교(치바현)에 14-10으로 승리를 거두며 10년 만에 4강 진출을 달성한 날, 히가시오사카시(東大阪市)에 있는 이 학교 체육관에서는 기세를 몰아…
4
0
02-21
텍스트
'조선'을 둘러싼 차별어 - 어떻게 탄생해 쓰여왔는가
우쓰미 아이코(게이센여자학원대학 명예교수)●1941년 도쿄 출생. 와세다대학 문학부, 동 대학원 사회학 전공 박사과정을 단위 취득 퇴학. 일본조선연구소 연구원, 인도네시아 파자자란대학 강사로 근무. 귀국 후 릿쿄대학, 도쿄도립대학 등 비상근 강사. 일본 식민지 지배 책임에 관한 서적을 다수 집필. 현재, 게이센여자학원대학 명예교수.정리: 황OO일본의 …
5
0
02-21
텍스트
우리를 말하는 말은 무엇인가
김철수(조선대학교 조선문제연구센터 부센터장)다양하고 복잡한 호칭10년 전부터 ‘재일조선인 문제개론’ 수업에서 ‘재일동포의 호칭’에 관해 이야기 하는 시간을 만들어 2,3학년 학생들에게 ‘상대에게 어떤 호칭을 쓰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했다. ‘당신은 어디 사람인가’라고 물었을 때, 이토록 다양하고 복잡한 호칭을 쓰는 사례는 재일조선인 이외에는 없지 않…
5
0
02-21
텍스트
[우리학교 민족교육] 민족교육은 왜 필요한가—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다
김양승(조선대학교 교육학부 학부장)근대 교육이라는 전제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하는 일은 매우 어렵습니다.지식이나 경험을 전달하는 의미에서의 교육은 인류의 역사와 같은 세월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정치나 경제, 문화 등 다른 일상 생활과도 떼어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 여러 방면에 걸쳐 이야기하게 됩니다.많은 사람이 다양한 입장에서 교육에 관해 …
2
0
02-21
텍스트
[우리학교 민족교육] 조선어를 “우리말”로서 자유자재로 - 초급부 조선어
고철수(기타오사카 조선초중급학교 교장, 44세)조선학교에서는 초급부 6년간 조선어 교육을 통해 조선어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을 키우고 기본적인 언어생활을 조선어로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아이들이 조선어를 우리말(우리의 언어)로 몸에 익히는 것이 조선어 교사로서 가장 큰 소망입니다.2003년도 교과서 개편조선학교에서는 20…
2
0
02-21
텍스트
학생 수를 늘리는 과제, 함께 고민하고 싶다 - <나와 민족교육>
박지성(45, 죠호쿠 조선초급학교, 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 교육회 이사)●1975년 효고현 출생. 니시고베 조선초중급학교(당시), 고베 조선고급학교를 거쳐 93년 4월, 조선대학교 외국어학부에 입학. 97년 3월에 졸업한 후 효고현에서 보험대리점에 근무. 결혼을 계기로 오사카로 이주했고 현재는 부동산업에 종사. 죠호쿠 조선초급학교 이사, 오사카 조선…
4
0
02-21
텍스트
스스로 생각해서 답을 찾아내는 힘 - 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 수업참관
조선학교에서는 어떤 교육을 하고 있을까?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 수업을 취재했다.고급부 1학년 : 수학오사카조선고급학교와 히가시오사카조선중급학교가 통합되어 2020년 4월부터 새롭게 문을 연 오사카조선중고급학교. 10월 말 어느날 학교를 방문해 수업을 취재했다.1교시는 고급부 1학년 3반(이과) 수학 수업에 참가했다(오사카중고는 고급부 1학년부터 문과와 이…
2
0
02-21
텍스트
‘재일조선인으로서의 나’를 처음 ‘배우는’ 시간 - 수업참관(기타큐슈 조선초급학교…
조선학교에서는 초급부 3학년부터 사회과목 수업을 듣기 시작한다.재일조선인의 역사, 문화에 더해 일본사회에 대해서 배우면서 자신이 누구인지,사회와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지 깨달을 수 있다.아이들의 정체성을 기르기 위해 꼭 필요한 '민족교육' 중 하나다.‘우리’를 배우다초급부 3학년은 사회 수업에서 크게 ①. 우리학교 ②우리 가족 ③우리 말과 풍습 ④우…
3
0
02-20
텍스트
조선학교는 어떤 곳일까?
일본 국적이라도 입학할 수 있을까?어디에 있을까?조선학교에 대해궁금한 점들을 해결해드립니다!1. 유래1945년 8월 한반도가 일제에서 해방되었을 때 일본에는 약 240만명의 조선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 중 약 170~180만명이 귀국, 60만명 이상이 일본에 남았고 일본에서 태어나 자란 2세들은 조선어를 구사할 수 없었고, 고향에 대해서도 알지 …
4
0
02-20
텍스트
영화로 만나는 조선학교
조선학교를 소재로 한 영화나 영상작품은 의외로 많다.학교생활, 수학여행 등 아이들의 생생한 모습을 볼 수 있다.영화우리학교김명준 감독 / 스튜디오 느림보 / 2006년 / 131분홋까이도조선초중고급학교를 무대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한국의 영화감독 김명준씨가 약 3년간 학교 기숙사에 머물며 카메라로 찍은 유치원생, 학생, 교원, 학교와 관련된 여러 …
9
0
02-20
파일첨부
[KBS 특파원 리포트] 60만 교포 울린 아이들…日 조선학교의 ‘트라이’
링크
60만 교포 울린 아이들…日 조선학교의 ‘트라이’입력 2021.01.09 (07:00)1월 5일 오후, 일본 고교 럭비의 성지로 불리는 하나조노(花園) 경기장.제100회 일본 전국고교럭비대회 준결승전이 열렸습니다. 오사카(大阪)를 대표한 조선고급학교와 가나가와(神奈川)현 도인가쿠엔(桐蔭学園)의 맞대결이었습니다. 전반 종료 점수는 12대 12. 누구도 예상치…
123
0
02-01
텍스트
일본 대기업 '유니클로'의 마스크 차별
어제(1월 19일) 날짜로 한국의 여러 신문과 방송에서 '유니클로의 마스크 차별'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여러 건 등장했습니다.[뉴스딱] 日 유니클로 "마스크 300만 장 기부"…조선인학교엔? | SBS 뉴스[백브리핑] "외국인 학교는 해당 안 돼"…일 유니클로 '마스크 차별' / JTBC 뉴스룸 - YouTube내용인 즉 유니클로가 100만팩(300만장)에 …
375
0
01-20
텍스트
자신의 경험으로 보답하기 - <나와 민족교육>
황용태(27,도쿄대 대학원 이학계연구과 박사과정)●1993년 7월 오사카 출생. 교토 조선제1초급학교(당시), 교토 조선중고급학교 졸업 후 고베대 이학부 물리학과에서 물리 전공. 현재 도쿄대 대학원 이학계연구과 박사과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휴교 조치가 내려진 가운데, 조선학교를 비롯하여 동포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무상으로 진행했…
98
0
12-31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Subject
Content
Subject+Content
법률상담
문의하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