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CLOSE
×
몽당연필
대표인사
걸어온길
사업소개
정관
살림살이
새글
오시는길
소식
공지사항
새글
활동보고
새글
동포소식
몽당연필 소식
새글
미유의 동포 이야기
미디어
칼럼
관련 행사
새글
일정표
새글
우리동네 우리학교
우리학교 어디있지?
홋카이도 학구
이바라기 학구
도쿄 학구
가나가와 학구
아이치 학구
교토 학구
오사카 학구
고베 학구
히로시마 학구
규슈 학구
자료실
우리학교 시리즈
재일조선인연구
재일조선인자료실
새글
영상
영화
책 소개
열린마당
카페로 가기
문의하기
법률상담
알아봅시다
조선학교는 어떤 곳?
고교무상화란?
보조금 문제
조선적 동포 문제
각 지역 재판 현황
후원하기
칼럼
칼럼
칼럼
목록
Total
25
텍스트
2022년, 질문 받는 부끄러움
2년 동안 '뉴스1'의<시선의 확장> 코너에서 볼 수 있었던 몽당연필 김명준 사무총장님의 칼럼이 올해부터는 연재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런 결정을 내려지기까지 복잡한 과정이 있었고, 이 사안을 널리 알려야 할 필요와 책임을 분명히 느꼈기에 이렇게 알려 드립니다.생생하고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2023년 1월 4일 업로드 되었던 김명준 사무총장님의…
107
0
02-01
텍스트
[시선의 확장] 국가보안법과 재일동포 2-재일한국양심수동우회
[시선의 확장]국가보안법과 재일동포 2-재일한국양심수동우회(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12-10 08:00 송고[뉴스1 홈페이지에서 원문보기]2022년 10월 25일~28일, 시민단체가 주최한 재일동포 초청행사 '동행'에 참가하기 위해 공항에서 만난 이철, 강종헌 선생들과 한통련 활…
220
0
12-15
텍스트
[시선의 확장]국가보안법과 재일동포 1 - 한통련
[시선의 확장]국가보안법과 재일동포 1 - 한통련(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11-05 09:00 송고|2022-11-07 06:14 최종수정지난 10월25일부터 28일까지 필자는 '재일한국양심수동우회' 소속 이철, 강종헌, 이동석, 그리고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이하 한통련)의 김…
224
0
11-07
텍스트
[시선의 확장] 미안하다, 치마저고리
[시선의 확장] 미안하다, 치마저고리(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10-08 09:00 송고일본 법원으로 들어가는 조선학생들(위). 광화문 거리를 걷는 한복입은 젊은이들(아래).© News1광화문에 가면 형형색색의 한복을 입고 친구와 재잘거리며 대로를 걷는 소녀들을 종종 본다.바로 얼…
84
0
10-13
텍스트
[시선의 확장] 내 친구의 고향은 어디인가? - 제주도 2박3일의 기적
링크
[시선의 확장] 내 친구의 고향은 어디인가? - 제주도 2박3일의 기적(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09-10 09:30 송고역대급 태풍이 강타하기 직전이었던 여름의 끝자락에 2박 3일 동안 제주를 다녀왔다. 내가 속한 단체의 청년 역사 기행에 스텝으로 참가한 것이다. 약 30여 명의…
85
0
09-15
텍스트
[시선의 확장] 다 하지 못한 말-고백
링크
[시선의 확장] 다 하지 못한 말-고백(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08-13 11:12 송고영화 '우리학교'는 다큐멘터리이다. 극장과 공동체 상영을 합쳐 약 12만명이 봤다. 연출자인 필자 스스로 말하기 좀 부끄럽지만 '워낭소리'가 나오기 전에는 다큐 흥행 기록이었다고 한다. 일본 …
77
0
09-15
텍스트
[시선의 확장] 아베 신조의 사망을 걱정하며
링크
[시선의 확장] 아베 신조의 사망을 걱정하며(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07-16 08:29 송고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어느 청년의 총격으로 사망했다.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이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 등 서방의 지도자들은 아베의 업적을 찬양하고 명복을 비는 조문을 보낸다. 조문…
63
0
09-15
텍스트
[시선의 확장] 배수찬과 재일동포 학생야구단
링크
[시선의 확장] 배수찬과 재일동포 학생야구단(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2022-06-18 13:18 송고배수찬 (1937. 7. 5 ~ 1986) 재일동포 2세, 본적 경북 성주, 학력 일본 에바라(荏原)고, 재일동포 학생야구 모국방문단 제2회 대회 참가, 제3회 아시아선수권대회(59년 6…
81
0
09-15
텍스트
[시선의 확장] '파친코' 유감(有感)
링크
‘파친코’ 유감 有感(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 | 2022-05-21 09:01 송고드라마 '파친코' 갈무리 (애플TV+)ⓒ 뉴스1복잡한 마음으로 읽고 복잡한 심정으로 드라마를 봤다. 소설 ‘파친코’와 애플의 드라마 ‘파친코’다. 주인공인 ‘재일동포’ 당사자들의 ‘복잡함’에 비할 바…
1658
0
05-25
텍스트
[시선의 확장]74년 전 '4월24일'을 기억하며
링크
재일조선인 전체의 역사 '4.24교육투쟁'재일조선인에게도 4월24일은 특별한 날이다. 줄곧 '한신(阪神) 교육투쟁'이라 불렸지만, 근래엔 오사카(大阪)·고베(神戶)뿐만 아니라 재일조선인 전체에 걸친 투쟁이었음을 들어 한신(阪神)을 빼고 '4·24교육투쟁'으로 부른다. 1948년 1~5월 재일조선학교를 둘러싸고 미국 점령군, 일본 정부, 그리고 재일조선인이 …
245
0
04-27
텍스트
[시선의 확장] 재일동포와 대통령 선거
링크
[시선의 확장] 재일동포와 대통령 선거(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 | 2022-03-26 08:00 송고제18대 대선의 재외선거에서 박근혜 당선인은 문재인 후보에게 2만여표로 뒤졌다. © 뉴스12007년 말이었다. 영화 '우리 학교'가 한국 개봉 이후 일본에서도 지역 동포들에 의해 제…
380
0
03-28
텍스트
[시선의 확장] 재일조선인 옆의 일본인
링크
[시선의 확장] 재일조선인 옆의 일본인(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 | 2022-02-26 08:00 송고일본 조선학교의 일본인 체육교사 후지시로 코치. (출처=2006년 영화 '우리학교' 촬영 장면) © News1일본의 유명 서점에 가면 베스트셀러 코너라든가 이달의 신간 코너에 '혐한…
239
0
02-28
텍스트
[시선의 확장] 재일동포 이명진의 주민등록증 만들기
링크
[시선의 확장] 재일동포 이명진의 주민등록증 만들기(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 | 2022-01-31 08:00 송고처음으로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고 기뻐하는 재일동포 이명진 씨. © 뉴스1필자가 명진(가명)을 만난 건 자주 교류하는 재일동포 신미유 씨의 일본 출국일이었다. 올해로 서른 …
789
0
02-03
텍스트
[시선의 확장] 조선인이 싫었던 한 젊은이의 우토로 방화
링크
[시선의 확장] 조선인이 싫었던 한 젊은이의 우토로 방화'헤이트 범죄'에 '기억과 추억'의 상실 위협받는 재일 조선인의 삶(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 | 2022-01-01 08:00 송고8월30일 우토로 화재 현장.('우토로 지킴이' 김수환 제공)© 뉴스12021년 8월 30일. 필…
188
0
01-06
파일첨부
[시선의 확장] 작은 조선학교가 전해준 '만남'의 교훈 (김명준 사무총장 기고)
링크
[시선의 확장]작은 조선학교가 전해준 '만남'의 교훈(서울=뉴스1)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우리학교> 감독 | 2021-12-04 09:00 송고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 감독.© 뉴스1필자는 시민단체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이하 '몽당연필')에서 일하고 있다. '…
860
0
12-06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Subject
Content
Subject+Content
법률상담
문의하기
후원하기